Dr. David Sackett이란 분에 대해서 들어보신 분들이 있으신지? 아니면 EBM, 즉 Evidence-Based Medicine 증거중심의학이라고 들어보신 적은 있으신지? 바로 이 증거중심의학(EBM)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캐나다 맥마스터대학의 교수님이신데 향년 80세로 하늘나라로 가셨다는 기사입니다. 임상역학(Clinical Epidemiology)이라는 오랜 의학의 분야 중에서 컴퓨터의 발전과 더불어 실제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가장 최신의, 가장 최고의 근거들을 모아 합리적으로 해석수용하고 그것에 바탕해서 가장 최선의 판단을 내려서 실제 환자의 치료에 응용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서양의학에는 기존의 교과서나 실험연구와 가이드라인에만 고착하여 의존하는 병폐에 반론을, 동양의학에는 실제 임상치료의 증거를 근거력을 잘 갖추어 보고하면 새로운 이론이라도 의학계에 받아들여질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는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한국에도 1990년대 중후반 부터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하여 지금은 동서의학을 망라하여 임상의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는 상당히 많이 보편화된 의학연구의 방법론이라고 하겠습니다.
한의사로서 동양의학을 전공한 후 8체질의학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의 의학에 발을 들여놓고 보니 이 위대하면서도 독특한 치료의학을 어떻게 하면 동시대의 의료인들과 공유하고 나누어 전세계의 의료인들을 통해 환자분들께 전달될 수 있게 할까를 고민하면서 방법론을 찿던 중 나름의 결론은 EBM을 8체질의학의 표현방법으로 삼아야겠다고 마음먹고 캐나다로 왔습니다. 누구도 걸어가 본 적이 없는 8체질임상과 EBM의 결합이라는 큰 그림을 그려놓고 보니 몇 해의 유학으로는 기초도 쌓기 어렵겠다는 판단에 아예 삶과 임상의 터전을 맥마스터대학이 있는 해밀턴과 토론토사이로 정한 것이었지요. 여기로 오자마자 먼저 Dr. David Sackett교수님께 편지를 드렸더니 제 편지를 받은 며칠 후에 Ontario주 북쪽, Bruce Peninsula(김연아 선수가 최고의 휴양지로 추천한 Tobomory란 곳이 있는 반도이지요.)의 숲속 cottage로 부인과 함께 거처를 옮기게 되므로 훌륭한 제자교수에게 추천을 해 놓을 테니 의논을 해보라는 답장을 친필사인과 함께 주시더군요. 임상연구의 가장 큰 그림이자 기초를 먼저 공부해보겠다는 생각으로 McMaster University에서 Clinical Research 전문가 과정을 마친후 Evidence-Based Case Reporting이 첫 단추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Dr. Milos Jenicek이란분과 가까운 장래를 의논하면서 8체질임상을 하고 있는 중에 우연히 뉴욕타임즈에서 지금 제가 걷고 있는 이 길을 이끄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EBM의 창시자 Dr. David Sackett 교수님의 타계 소식을 듣고 안타까움과 함께 고인의 명복을 빌면서 간단한 추억을 전합니다. 뉴욕타임즈에 실린 장명화란 한국분의 안타까운 사연입니다. 뉴욕 중심부 한인과 중국인들이 많이 모여 사는 Flushing지역에서 마사지사로 일하시면서 피로에 지쳐 포도당주사를 한번 맞고 그 길로 의식을 잃고 병원에 실려갔다가 겨우 깨어 나긴 했지만 양다리, 오른쪽 팔, 왼쪽 손가락 등을 모두 잘라내어야만 했던 황당하기 짝이 없는 경우입니다. 살아 난 것만도 감사하게 생각하고 삶의 의지를 다시 다지기는 하지만, 그저 포도당 주사를 한번 맞은 것 뿐이고 그 지역 아시아계이민자들, 특히 중국사람들한테는 더더욱 성행하고 있는 것인데, 유독 이분은 이런 변고를 겪고 병원을 상대로 지루한 소송을 벌이고 있는 상황으로 진한 안타까움을 남깁니다. 소송을 당한 의사나 병원도 뭐라 설명도 언급도 할 수 없는 지경인 듯 하고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8체질의학을 하는 의사의 눈에는 너무도 자명해 보이고, 권도원 박사님께서 누차 강조하셨던 사례이지요? 저 역시 권박사님과 함께 있으면서 가까운 지인이나 환자분들이 어느날 갑자기 비명횡사하는 경우를 왕왕 보아 왔지요. 절대로 포도당 주사를 맞지 말라고 한 것을 가벼이 듣거나 부득이 피할 수 없는 경우들이었습니다. 서양의학의 관점뿐 아니라 심지어 한의학을 포함한 동양의학등 전세계 어느 의학에서도 이것의 이유를 밝혀낼 수는 없는 것입니다. 이 기사에서와 같이 어딘가에서 감염이 되지 않았겠느냐 정도지요. 사실, 의료인으로서 소송을 당한 의사나 병원도 참 딱하게 생각됩니다. 뭔가 잘못한 것이라도 있으면 모르는데, 원인도 이유도 모르니 아마도 그저 황당해만 하고 있을 것입니다. 이 포도당의 중독으로 급사했던 경우의 역사는 사실 알려지거나 기사화 되지 않아서 그렇지 우리나라에도 많았었습니다. 한국의 모 의과대학 교수님의 의사인 딸을 아버지 의사가 포도당을 주어서 본의 아니게 죽게 한 사연부터, 권박사님께서 칼럼으로 이미 쓰신 모 유명 철학자의 의사이신 아버지가 포도당 중독으로 죽었다가 병풍 뒤에서 다시 일어난 일이며 황당하여 도무지 믿겨지지 않는 엄연한 사실들이 분명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저 설탕물일 뿐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최근 의료계에서 사용하는 포도당의 농도가 많이 낮아진 것 또한 사실이지만 아무도 그것을 눈치채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체질의 문제임을 어느 천년이 가야 이해할지요? 목양체질이 포도당주사로 인해 사망하면 환자는 환자대로 의사는 의사대로 서로 황당한 상황에서 책임을 두고 소송을 해야 하는 이 현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8체질을 아는 것일 테지요. 감기, 독감, 알러지는 모두 공통적으로 콧물, 재채기, 목아픔, 기침증상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는 각각 정확히 구분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감기와 독감은 다르니 어쩌니 말들이 많지만, 이 기사에서와 같이 한마디로 얘기하면 좀 더 심하고 덜한 차이 밖에 없다고 보면 맞습니다. 다만, 고열이나 심한 근육통이 동반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지요. 반면에 알러지는 맑은 콧물등의 증상이 계절이나 자극인자에 영향을 받고, 고열이 동반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요. 이 기사는 전체적으로 바이러스로 인한 감기 또는 독감과 내부의 면역계가 민감해진 알러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감기와 독감은 수분섭취를 충분히 하고, 알러지는 항히스타민제등을 써서 조절 하라는 조치와 함께 도표로 차이점을 잘 구분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감기 또는 독감과 알러지는 이런 관점에서만 구분해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8체질의사의 관점은 모두 외부의 바이러스나 항원보다 인체내 면역과 직접 관계된다고 봅니다. 즉, 감기나 독감은 면역기능이 약해져서 몸이 적절히 바이러스를 처리하지 못하게 된 것이고, 알러지는 외부의 자극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작동하는 체내 면역시스템이 문제라고 봅니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는 치료에 있어서 완전히 다른 접근을 하게 하므로 현대의학에서 완치가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이 두 계열의 문제에 대해 8체질의학에서는 완치가 가능하다고 선언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실제 현대의학은 감기와 독감의 원인을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로 보고 이를 어떻게 억제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영리한 바이러스에 백전백패하고 있는 실정이고 백신으로 미리 예방을 해볼려고 애쓰는 것 역시 헛방질의 연속일 뿐이며, 알러지는 외부의 항원을 어떻게 피하느냐에 초점을 맞추니 아주 어릴때부터 그 항원에 조금씩 노출을 시켜줘야 한다느니 지구온난화로 항원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어쩔수 없으므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느니 하는 엉뚱한 방향으로 소위 첨단?이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한심하기 짝이 없지요.ㅎ 8체질의학에서는 과도하거나 약해진 체내의 면역을 정상화시키는 치료방법으로 이미 많은 완치사례를 만들어 왔습니다. 면역이 약해져 감기 또는 독감 바이러스를 몸이 떨쳐내지 못하는 경우든 면역이 과도해서 조그마한 자극에도 비정상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알러지의 경우든 모두 한꺼번에 정상화시킬 수 있는 8체질침 치료방법을 사용하고 그러한 상황이 오게된 원인, 즉 자신의 체질에 맞지 않는 식사, 운동, 목욕등의 섭생을 잘 수정하게 되면 충분히 완치가 가능한 질환들임을 알려드립니다. 허리통증과 디스크의 문제가 영양부족과 관계가 있다는 기사입니다. 기사에서 언급했듯이 이것은 기존의학에 새로운 장을 여는 것과 같은 얘기입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근골격계의 통증문제가 섭취하는 음식과 관계된다고 하면 의학계뿐 아니라 일반환자분들 중에도 가끔 코웃음을 치기도 하는 얘기인데, 관계가 있다는 연구를 한 것이죠.
이 기사에서 연구자들의 논리를 보자면, 디스크의 가운데를 차지하는 액체부분인 수핵의 세포들은 포도당을 필요로 하는데, 그것이 부족하거나 젖산이 많아지게 되면 퇴행변화를 촉진해서 디스크 자체의 건강이 약해지거나 쿠션역할을 잘 못하여 척추의 간격이 줄거나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을 유발하므로 섭취하는 영양과 관계된다고 전합니다. 마지막 부분에서 Dr Brian Hammond의 말을 인용하여 "We are what we eat이고 척추도 예외는 아니다"라고 하고요. 우리가 먹는 음식이 근골격계의 통증에 직접적인 영향이 될 수 있다는 논리는 가설이긴 하나 현대의학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므로 긍정적이라고 하겠지만, 그로 인한 구조의 문제로 통증이 생긴다는 단순논리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어떻게 먹는 것이 잘 먹는 것인지요? ㅎㅎ 말이 없지요? 모른다는 얘기죠. 그러니 뭐 잘 먹고, 적당히 운동하고, 자세를 바르게 하고 등등 일반인도 할 수 있는 얘기만 하고 있겠지요. 통증은 항상 그 바탕에 염증이 있습니다. 특히, 퇴행성 관절의 염증은 열과 부종을 동반하는 active한 염증보다 통증이 위주되는 염증인 경우가 많습니다. 여덟 체질에 맞지 않는 식사가 지속될 때, 매일 쌓이는 근육의 피로물질, 즉, 젖산은 밤사이 휴식기 동안 바로 청소될 수 있는 회복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그렇게 새로운 아침을 맞게 되면, 어제 남은 피로물질은 오늘 또 더 해져 점점 염증의 양상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 대개 근골격계의 염증으로 인한 통증의 주원인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근육을 삭은 고무줄처럼 만들어 탄력을 잃게 하고 구조를 불안정하게 하여 심각한 디스크까지 유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자신의 "체질에 맞게 식사"를 하는 것이 "잘 먹는 것"이고 그리하여 몸이 가진 회복력을 정상화하여 휴식하는 동안 몸이 스스로 염증물질을 없애고 복구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완전한 치료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체질에 맞는 음식을 철저히 기본으로 삼고 그 회복력의 속도를 증강시켜 줄 수 있는 8체질침으로 처리를 하면 난치병으로 알려진 디스크도 온전히 치료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