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성 진통제 위기
수년 전 미국에서 인기리에 방송된 의학드라마 Dr. House의 천재 진단전문의사인 주인공이 마약중독자였던 것을 기억하시나요? 잘못된 진단으로 인해 부득이한 수술을 한 후 다리를 절면서 통증으로 평생을 시달리며 어떠한 진통제도 듣지 않다 보니 Vicodin이라는 마약성 진통제를 과자처럼 먹으면서 다니는 그의 모습이 드라마의 설정이었지요. Opioid Crisis 또는 Opioid Epidemic 이라고 이름하는 Percocet, Vicodin, OxyContin, Fentanyl 등 마약류의 중독이 만연한 미국이나 캐나다 등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의사들의 마약성 진통제 처방에 따른 마약중독에 대하여 심각하게 고민하고 반대하는 운동을 본격적으로 일으키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그 내용과 역사를 가장 간단히 잘 요약한 wikipedia를 소개합니다. 2015년 한해 미국에서 약물과다복용으로 사망하는 사례의 3분의 2는 opioid로 인한 사망이라는 보고가 있고, opioid 과다복용으로 사망하는 사례의 거의 절반은 바로 의사들에 의하여 처방된 마약류(prescription opioid)라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태평양 건너 남의 나라 이야기 같은가요? 2017년 상반기 약 3개월간의 한국진료를 선후배들과 함께 해오면서 한국의 진료실에서 우리도 심각한 걱정을 해야 할 만큼 의존성이 높은 향정신성 의약품 및 마약류들이 너무도 많이 처방되고 있음을 보고 뭔가 심각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항우울제, 항불안제 정도는 30년을 복용해도 중독되지 않는다는 의사들의 거짓말에 그저 그렇게 약에 중독되어 실제의 증상보다는 그 부작용으로 더 큰 문제를 안고 살아가는 분들을 많이 보게 되고, 그것을 정확히 분별해 내지 못하고 거기에 더하여 보약이나 추가로 처방해주는 한의사들의 행태까지 보게 되니 이를 어떻게 해야 할지요? 또한, 한의원의 1차 진료에서 가장 많이 보게 되는 근골격계 통증분야에서도 과거에는 보기 힘들었던 양약처방들이 자주 눈에 띄어 걱정이 많이 되더군요. 주로 근골격계질환 전문병원이란 곳에서 처방 받아 오는 약물들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이 바로 서두에 말씀 드린 Dr. House가 주로 복용하던 opioid계열의 진통제들이었습니다. 물론 환자분들은 단순한 진통제를 먹는다고 생각하지 마약성 진통제라는 것과 이것이 중독성이 있다는 사실은 거의 모르고 있는 경우가 수두룩했고요. 한국 역시 불과 얼마 안되어 지금의 미국이나 캐나다 등에서 의사들의 처방에 의한 마약중독을 심각하게 걱정하고 대책을 세워야 할 날이 곧 오겠구나, 그러기 전에 의료인의 한 사람으로서 그것을 막을 길이 있다면 뭐라도 해야 할듯한데 하는 생각입니다. 거대한 흐름 앞에 무기력함을 느끼기도 합니다만, 당장 여러분들의 진료실을 찾는 환자분 한사람 한사람부터라도 복용약물들을 꼼꼼히 조사하여 적어도 opioid계열의 약물은 인식을 시켜드리고 제한하도록 노력하실 것을 우선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현재 미국에서 조사된 바와 같은 과다복용으로 수많은 부작용, 중독성과 사망의 이유뿐만 아니라 8체질임상에서 이러한 향정신성의약품 및 마약류들을 주의해야 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두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대개의 진통제와 마찬가지로 8체질침의 즉각적이고 강력한 효과가 이러한 약물들로 인하여 가려져 버려서 치료경과를 관찰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비스테로이드성진통제(NSAIDs)뿐 아니라 마약성진통제 등은 몸을 스스로 치유하도록 하여 통증을 제어하는 8체질침의 효과를 방해하여 그 효과를 반감 또는 무효화 한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사실을 잘 숙지하셔서 매일의 8체질임상에서 만나는 환자분 한분 한분 복용하시는 양약을 잘 확인하고 대응하여 8체질치료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약물의 부작용과 중독에서 벗어 날 수 있도록 하는 길잡이가 되도록 열심히 연구하고 노력하시기를 다시 한번 권면합니다. 현란한 산후조리, 가장 많은 산후풍
외국영화에서나 외국생활을 조금 해 보신 분들은 출산직후 여성들의 행동패턴에 대해 상당한 괴리감과 의아함을 느끼게 되는 듯 합니다. 서구여성들이 병원에서 출산직후 바로 샤워도 하고 딱히 보양식 같은 것을 챙기지도 않고 움직일 만하면 바로 일어나서 산책을 하기도 하는 생경한? 모습을 보면서 대개의 한국사람들, 특히 어머니들의 반응은 말문이 막혀 “어, 어, 저러면 안되는데,,,”를 연발할 따름입니다. 반면, 산후에 나름 신경을 써서 조리를 하는 문화가 중국에도 최근에는 상류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지만, 역시 전세계에서 한국을 따라갈만한 곳이 없는 것으로 짐작됩니다. 삼칠일간(즉, 21일간) 문밖출입을 절대 금하며 찬바람은 한줄기도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틈까지 틀어막고 온돌방이 절절 끓도록 온도를 높이고 그것도 모자라 산모의 온몸은 두터운 옷으로 둘둘 감아서 땀을 뻘뻘 흘리도록 해 놓고는 하루에 6번씩 소고기미역국을 강제 흡입하게 하며 더하여 전통한의의 처방 중 산후에 자주 상용해왔던 몇 가지 처방들을 골라 열심히 한약도 복용하게 하고,,, 이렇게 가장 현란하고 복잡하며 나름의 철칙을 가지고 전통적인 산후조리를 마치 신병훈련소 훈련하듯 하게 되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해주는 고급 산후조리원들은 아예 임신을 하면서부터 대기표를 받아서 들어간다고 하니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세계에서 가장 철두철미하게 산후조리를 하는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출산과 연관되었다고 보이는 또는 주장되는 증상들이 가장 많다고 한다면 믿어지시는지요? 정확한 통계를 만들어 보지는 못하였지만, 1차 진료에서 8체질임상을 오랫동안 해 온 저와 동료들의 경험은 대체로 일치하는 듯합니다. 오늘 소개하는 기사에서와 같이 서구에서 Postpartum depression 또는 postnatal depression이라고 지칭하는 범주의 증상들에서 보통 우리의 진료실에서 보는 “산후풍”이라는 거의 대부분의 증상들을 포괄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서구에서도 7명중의 1명 정도의 산모들이 출산 후에 한동안 우울증부터 각종 통증까지 다양한 증상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인도 이유도 분명치 않고 그저 항우울제 정도를 처방하여 대처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면, 한국에서는 이렇게 산후조리를 많은 분들이 열심히 하기는 하는데, 왜 이렇게 더 많은 출산 후 연관증상들을 보이게 되는 것일까요? 아니면, 더 심하게 많이 나타날 증상들을 이렇게라도 하였으므로 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까요? 8체질임상의 관점에서 보면 나름의 이유가 충분히 설명이 되기에 간단히 소개를 해드립니다. 일단, 가장 기본적으로 산모의 방을 덥게 해서 땀을 흘리게 하는 것과 하루 6회 이상의 미역국이 공통적인 듯 한데요, 대체로 목양체질과 목음체질 정도는 이 방법이 그렇게 나쁘지는 않은 것입니다. 반면 토양체질과 토음체질에는 땀을 흘리게 하는 환경은 좋으나 다량의 미역국은 오히려 관절통을 더욱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고, 수양체질과 수음체질에는 먹거리는 나쁘지 않으나 너무 땀을 흘리게 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지요. 너무 과도하게 땀을 많이 흘리게 하지만 않는다며 수양체질과 수음체질에도 상당히 적절한 조리법이 되는 것이지요. 금양체질과 금음체질에는 환경과 식사 당연 모두 해로울 수 밖에 없는 것이고요. 실제로 현대의 많은 커리어 우먼들이 출산 후 직장으로의 복귀를 염두에 두고 3개월정도의 엄격한 산후조리를 마치고 막 복귀를 앞두고 당황한 기색으로 진료실을 찾아와 곧 직장에 복귀를 해야 하는 상황이고 나름 철저히 산후조리를 했는데 도무지 몸이 회복이 되지를 않고 여기저기 더욱 아프기도 하고 무력하여 어쩔 줄을 모르겠다고 한껏 풀이 죽어 오는 경우를 왕왕 보게 되는데, 대개의 체질분포가 금양, 금음, 토양체질인의 경우가 많은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즉, 따뜻하게 하는 정도를 넘어 땀을 흘리게 하고, 소고기미역국을 집중적으로 섭취하는 전통적인 산후조리의 방법 자체가 오히려 해가 되어 버린 경우이지요. 인간의 체질이 다르고 그 조리의 방법이 달라야 한다는 8체질임상의 접근이 아니고는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기도 치료를 하기도 어려울 것이니 고착된 전통의 관점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려는 유연하고 새로운 8체질임상의 시각과 접근에서 다시 한번 환자분들을 잘 관찰해 보셔서 적절한 해결책과 치료를 제시해 도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