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로 파괴된 췌장세포의 재생
금주 월요일에 있었던 당뇨 및 대사질환들의 8체질전문임상사례중심세미나(ECM Cases Focused Seminars, ECM CFS)에 참여해주신 8체질전문임상스터디그룹(ECM Specialty Training Course, ECM STC)의 member들과 많은 일반참관자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두시간여의 시간 동안 새로운 아이디어와 실제의 성공적이고 놀라운 치료사례들을 확인하셨을 것으로 믿고 이 분야의 질환으로 고통 받는 많은 환자분들께 적용이 되어 단 한 명이라도 더 치료해 주실 수 있다면 세미나를 주관하는 입장에서 큰 보람이 되겠습니다. 8체질의학에 기반한 당뇨 및 대사질환의 치료법은 임상적으로 수많은 완치사례를 누적해오며 분명하고 확실한 대안이 되고 있으나 아직은 주류의학의 치료법으로 자리를 잡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임상적, 실험적 검정의 자료들이 누적되어야 서서히 알려져 나갈 텐데 여러 가지 이유로 결코 녹록치 않긴 합니다. 임상을 하는 의사로서 대개의 경우 실험실의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다소 신뢰를 못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보통 동물실험의 경우 인간에게 적용되었을 때의 편차가 많기도 하고, 가설에 의한 엄청난 숫자의 실험실 결과가 실제의 임상에서 인간환자에게 적용되어 유리한 결과를 일으키기까지의 확률이 극히 낮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하지만, 오늘 소개하는 영국 BBC의 기사는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 과도한 식사로 인해 그 최종산물인 포도당이 체내에 엄청나게 폭증하게 되면 혈관내의 포도당 용량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간과 췌장을 위주로 한 장기들은 긴밀한 협조를 하게 됩니다. 그 대표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전 중의 하나가 바로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분비하는 인슐린이지요. 문제는 그 폭증한 포도당에 대응하여 일정기간은 췌장이 인슐린분비를 더 하므로 어느 정도 인체는 정상을 유지하는 기간을 갖게 되지만, 한계를 넘게 되면 이제 췌장이 더 이상은 인슐린을 분비할 수 없는 상황에 도달하여 망가지게 되고 결국은 기능을 완전히 못하게 되는 췌장부전(Pancreatic Failure)의 상황으로 빠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 바로 고혈당(Hyperglycemia)이자 당뇨(Diabetes)라고 진단되는 것입니다. 췌장의 세포수준에서 보자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세포는 너무 과도하게 일을 하여 거의 파괴가 되어 있는 것이지요. 현대의학에서는 이렇게 파괴된 췌장의 세포는 다시 복구되는 것이 불가능하여 인슐린을 스스로 분비할 수 없다고 보기에 외부에서 인슐린을 투여해 주어야만 한다는 입장입니다. 한편, 경구혈당약의 가장 대표적인 종류의 하나인 Sulfonylurea라는 약물은 다 쓰러져가는 췌장을 더욱 두들겨 패서 남은 조금의 인슐린마저 뽑아내는 작용을 하는 약물이라 췌장의 회복이나 치료에는 더욱 역행하는 것이어서 문제가 많지요. 그러므로, 세계당뇨의학계의 최신지견은 1형뿐 아니라 2형 당뇨에서도 인슐린만이 결국은 최선의 대안이라는 주장과 함께 제약계는 여기에 부응하여 경구복용이 가능한 인슐린을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런데 오늘 소개하는 기사에서는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Dr Valter Longo라는 분이 그러한 현대의학의 기본적인 고정관념에 정반대되는 가설과 실험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즉, 극소식이나 금식(fasting or fasting-mimicking diet)을 통하여 체내 포도당의 유입량을 극도로 줄이게 되면 non-reversible하다고 알려진 파괴되었던 췌장의 세포가 다시 스스로 재생(regeneration)될 수 있더라는 결론입니다. 비록 쥐(mice)에서의 실험결과여서 한계를 인정하고는 있지만, 이 가설의 검증이 눈에 띄게 된 이유는 기존의학의 관점에 대한 반란과 같은 측면이 있기도 하고 또한, 이미 우리가 인체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현재의 치료방법이 최초로 바로 이 가설에 기반하여 실제의 8체질임상에서 충분히 검정해 왔기 때문입니다. 즉, 극도로 소식을 하여 체내의 포도당유입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 췌장세포의 과도한 분비를 제한하여 췌장을 휴식하게 하고, 불규칙한 식사에서 규칙적인 식사로 전환하므로 인체내의 포도당 유지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스로 저장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음식물 중에서 소화과정을 거쳐 최종산물인 포도당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가장 빠른 탄수화물류의 비율을 극소화하고, 중간속도인 단백질원을 다음으로, 가장 낮은 속도인 야채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방법으로 결국 지친 췌장의 세포를 휴식하게 하고 재생할 수 있는 시간을 주면서도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만큼의 포도당을 8체질의 특성에 맞게 공급하는 최적의 방법인 것으로 믿고 있었던 것이지요. 그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시작한 섭생법은 실제의 임상에서 놀라운 결과들을 보여주었고, 그리하여 당뇨와 일련의 대사질환에 대한 실체적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 안목을 얻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더우기 장계염증방위주의 8체질침치료는 이러한 혼란된 장기들(organs)간의 전달을 정상화시키고, 파괴된 세포의 복구를 도모하는 역할을 충실히 한다고 생각됩니다. 8체질임상을 통하여 당뇨 및 대사질환들을 간단히 정복해 나가서 좋은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가장 중요한 일이지만, 그것이 어떠한 이유와 기전을 가지고 가능한 것인지를 탐구하고 현대의 학문적 도구로 설명 가능하도록 소통해 나가는 것 역시 향후 8체질의학의 연구에 상당히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되어 별로 선호하지 않는? 동물실험연구임에도 불구하고 간단히 연관하여 해설을 드립니다. 마른당뇨, 뚱뚱한 정상
대개 2형 당뇨는 diabetes 와 obesity라는 말을 붙여 diabesity라는 신조어가 나올 만큼 비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누차 그 기전을 설명해 드렸듯이 과도한 식사량이 1차 저장고인 간의 표면에, 그리고 2차 저장고이자 상당히 큰 창고에 해당하는 몸의 구석구석에 분포한 지방조직(adipose tissue)의 크기를 키우면서 골격자체는 그대로이나 살집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뚱뚱해지게 되므로 2형 당뇨와 비만(obesity)은 거의 함께 진행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8체질에 맞는 음식을 통한 식사량의 조절로 체중을 조절하게 되면 거의 대부분의 경우 지방간, 고중성지방혈정,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당뇨 등이 한꺼번에 잡히게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8체질클리닉의 1차 진료임상에서는 경험적 통계상 거의 90%이상이 이와 같이 당뇨와 비만이 동반되는 듯하나 아주 가끔 굉장히 황당한 상황을 만나게 됩니다. 즉, 전혀 뚱뚱하지 않은 정도를 넘어 너무 말라서 오히려 체중이 빠지는 것을 늘 걱정하시는 분들 중에서도 diabesity라고 할 만한 환자들에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특징인 지방간, 고중성지방혈정,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당뇨 등의 혈액검사소견을 보게 되기도 하고, 아주 반대로 매우 뚱뚱한 외양과 폭식하는 습관 등을 보이고 있어서 다양한 대사질환(metabolic diseases)의 가능성들이 짐작되는 상황에서도 혈액소견들은 지극히 정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필자 역시 한때는 당뇨현상에 대한 해결방법을 연구하여 약물과 인슐린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오로지 식사의 조절과 적절한 8체질 섭생법만으로 충분히 치료해 왔던 사례들을 진료실에서 쌓아가면서 가끔 만나게 되었던 일종의 장벽이자 의문이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기사는 저와 꼭 같은 문제와 고민에 대해서 New York Times의 Gina Kolata라는 의학전문기자(medical reporter)가 기사의 사진에 보시는 바와 같이 Claire Walker Johnson라는 깡 말랐으면서도 당뇨, 비만 및 대사질환 환자에게서 보이는 전형적인 특징과 혈액소견 등을 보이는 한 여자환자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해서 심도 있게 여러 전문의사들과 연구자들의 견해와 연구상황을 보고해 놓았습니다. 여담이지만, 혹 ECM Eyes를 통하여 그 동안 제가 소개해 드린 New York Times의 기사들 중에 이 Gina Kolata라는 medical reporter의 기사가 유독 많았다는 것을 눈치 채신 분이 있으신지? ㅎ 저도 인식하지 못했던 사실이었는데, 어느 날 제가 선정해 놓았던 기사들에 해설(commentary)을 붙이려고 살펴보다가 우연히 Gina Kolata라는 이름을 여러 군데서 발견하고는 이 사람의 기사만 따로 모두 모아 확인해 보았더니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진료실에서 늘 환자분들께 드리는 얘기들, 그와 관련한 배경적 연구현황 또는 오늘 소개하는 기사와 같은 현대의학의 미스테리들(물론, 8체질의사의 관점에서는 때로 그 해답을 가지고 있고 이미 해결한 문제이기도 한 경우도 자주 있었습니다만,,,)을 상당히 깊이 있게 취재해 놓았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이메일을 해서 간단히 8체질의학적 관점을 소개하고 모 기사들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둔 의문점들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는 견해를 보내 드렸더니 “I admire your effort to get some answers that apply to individuals. – Gina-“라고 감사메세지와 함께 답변이 왔더군요.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이러한 의학적 미스테리에 대하여 the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의 당뇨분과 수장이신 Dr. Simeon Taylor의 연구가 현재까지의 서양의학에서 최선의 답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마른 당뇨(또는 마른 비만 skinny obesity)”의 경우는 “lipodystrophy”라는 희귀한 유전 질환(a rare genetic disorder)이라는 인식으로 지방조직(fatty tissue)자체가 비정상적으로 부족한 것이 특징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방세포(fat cells)에서 분비되어 뇌를 자극하므로 식욕과 체중증가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leptin이라는 물질이, 워낙 이 지방세포 자체의 수가 적어서 뇌에 신호를 보내지 못하므로 깡 말랐음에도 불구하고 배는 계속 고프고 섭취한 음식물이 과도하여도 지방으로 저장될 창고자체는 매우 부족하므로 몸이 커지는 비만은 되지 못하고 그렇다고 체내에 저장되지도 못한 상태인 중성지방(TG), Lipoprotein 심지어 glucose 그대로의 형태로 체내에서 급격히 상승해버려 지표상으로는 당뇨나 비만 등 대사증후군의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일으키므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 즉, 지방세포(fat cells)가 많아서 충분한 leptin이 뇌를 자극하여 식욕은 별로 과도하지 않고 지방조직(fatty tissue)이 전신에 과도하게 많이 분포하여 먹는 대로 끊임없이 뚱뚱해지고 체격이 커지기는 하지만, 대사질환에서 보여주는 수치들은 여전히 정상을 나타내게 되는 “뚱뚱한 정상”이 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할 수 있겠지요. 8체질임상을 하는 진료실에서 “마른 당뇨, 뚱뚱한 정상”의 현상은 사실 절대다수는 아니지만 비교적 자주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험으로는 수음체질과 금음체질 환자에서는 “마른 당뇨”의 경우를, 특별히 목양체질에서는 “뚱뚱한 정상”을 자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진료실에서는 어떤지 오늘 ECM Eyes를 참조해서 한번 관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현대의학에서는 유전적 질환으로 짐작하고 있는 문제를 8체질의사의 입장에서는 질병이 아니라 각 체질간의 지방조직(fatty tissues)의 차이를 먼저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하여, 간혹 살 빠지는 것을 매우 두려워?하시는 깡 마른 수음체질이나 금음체질 당뇨환자분의 경우에도 충분한 이유를 설명해드리고 다소 체중을 좀 더 줄여야 한다고 지침하고 저항은 있지만 결국 완치를 하게 되는 경우도 있게 됩니다. 절대다수가 아닌 경우에 해당하기는 하겠지만, 8체질임상의 현장에서 가끔 만나게 되는 경우들이므로 유의해서 관찰하셔서 놓치지 않고 보아 좋은 사례들을 많이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당뇨라고 진단받고 오시는 분들 중 상당히 때로는 거의 대부분이라고 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콜레스테롤약을 세트메뉴처럼 드시고 계시는 경우를 항상 보게 됩니다. 주로 statin계열의 콜레스테롤 강하제이지요. 특히, 혈관내벽에 쌓여 동맥경화(atherosclerosis)를 일으켜 각종 심혈관질환의 주범으로 낙인 찍혀 있는 소위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하는 LDL(low density lipoprotein), VLDL(very low density lipoprotein)을 낮추어 마치 혈관을 깨끗하게 청소라도 해주는 약인 것으로 교육?을 받고 중단하면 혈관이 막혀 죽는 것으로 겁박당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지난 시간에 알려드린 필자가 고안하여 검증해온 8체질의학에 기반한 당뇨를 완치하는 식사법(Dr. Choi’s ECM Based Diabetes Cure Diet)은 비단 당뇨뿐 아니라 대사질환으로 알려진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비만 등에도 거의 모두 적용되어 완전하게 정상화 할 수 있는 방법임이 저희 ECM STC스터디 소속 클리닉들의 수많은 사례들을 통하여 입증되어 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여, LDL, VLDL등의 정상기준치가 일반인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그러다 보니 어제까지 정상이던 사람이 갑자기 오늘부터 콜레스테롤약을 먹어야 하는 환자가 되어버리는 현실가운데서도 혹 정상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 이미 충분한 처리방법을 가지고 있으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오늘 소개하는 기사는 근본적으로 ‘나쁜 콜레스테롤’이 무서워하는 end point라 할 만한 ‘심장병’의 발생과 연관성이 별로 없다는 연구결과입니다. 황당하지요? 콜레스테롤이 높으면 큰일이 나는 줄 알고 계시는 수많은 환자분들의 “상식”을 파괴하는 결과입니다. 물론, 기사에서 보시다시피 이 논문의 저자들 중 4명은 “콜레스테롤 가설(the cholesterol hypothesis)"을 비판하는 책들을 쓴 적이 있고, 또한, 저자들 중 9명은 THINCS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Cholesterol Skeptics)의 회원임을 밝히고 있지만, cohort study들로부터 증거(evidence)를 모은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로써 이들의 신념에 충분한 근거가 될 만 하다고 하겠습니다. 사용되는 것보다 과도한 에너지가 체내에 지방형태로 1차 저장되는 간표면의 저장고가 흘러 넘치면 혈관속을 떠 다니는 중성지방(Triglyceride, TG)이 되고, 그 일부가 protein과 결합하여 크기가 큰 입자를 형성하는 것이 LDL, VLDL인 고로 이 전체적인 기전의 흐름에서 궁극적으로 보자면 심장병이든 사망률이든 높아질 수 있는 가능성은 있겠지만, 이 전체적인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 과정 중의 한 요소인 큰 덩어리의 Lipoprotein이 많아지거나 높아진다고 심장병과 직결된다는 억지논리는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지요. 어쨌든 그러한 엉터리 이론이 의약계에서 주름을 잡고 득세를 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그 가운데서도 실체적 진실을 추구하고 탐구하는 연구그룹이 있고 연구결과들을 발표하고 있으니 큰 다행입니다.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체내 콜레스테롤이 높아진다는 근거 없는 가설이 거의 40년 만에 무너진 것에 이어(2015년 4월 2일자 ECM Eyes 참조) 나쁜 콜레스테롤이 높은 것 자체가 심장병과 연관이 없다는 연구가 더 해지므로 엉뚱한 약물과 잘못된 상식으로 두려워하며 과도한 약물과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고생하는 수많은 환자분들께 각자의 8체질에 맞는 건강한 식생활과 섭생법을 잘 지도하여 불필요한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해주기 바랍니다.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