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말씀 드린 질병인가 습관인가의 선행문제로 어떤 증상이 질병인지 아닌지를 먼저 구분해야 하는 다양한 경우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의원이라는 1차 진료기관에서 주로 환자를 맞으면서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만나는 분야가 근골격계질환일 것입니다. 또한, 더욱 단순하게 일반인들이 침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삐었을 때”일 것입니다. 과연 그럼 부종, 통증, 열감 등의 불편한 증상을 나타내는 이 흔하디 흔한 “삐었다”는 것이 질병인지 아닌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질병”이라는데 동의들을 하시는지? 결론부터 말씀드리고 가자면 전혀 질병이 아닙니다만… 먼저 질병의 정의를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정의라 하면, 다소 사변적이며 실제와 동떨어진 학문적 교과서적 느낌이 들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실제의 치료와 결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념정리일 것입니다. 대개 일반 동네한의원들이 염좌라는 상병명으로 건보공단에 청구하며 나름 가장 많은 노하우들을 갖고 열심히 “치료”해주고 있는 “질환”이라고 믿고 있지요. 반면에 서양의학을 전공한 의사들은 전혀 동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 않던가요? 흔히, 양방의사의 입에서 바로 튀어 나오는 얘기가 그것이 어찌 침을 맞아서 그런가? 그냥 시간이 지나서 나은 것이지 하고 반문하지요. 실제로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아도 열심히 치료를 해 준 것과 별반 차이가 나지 않은 경우도 많고요. 한의사로서 사회에 첫발을 딛고 아마 가장 많이 했던 일이 부은 발목을 부여잡고 삼릉침으로 유혈이 낭자하게 만들고는 부항을 붙여 피를 한가득 빼내고 선지처럼 굳은 피를 처리하고 한방파스(대황치자고? 등)를 붙여주고 염좌부위의 몇몇 혈자리와 조금 머리를 써서 침구서를 뒤져 원위혈 한두개 찔러주는 일인 경우가 많지요. 그러고 나면 나름 뿌듯하기도 하고 환자분도 뭔가 조치를 했으니 고맙다고 하고 아깝지 않게 비용을 지불하고 돌아가시지요. 어떤 효과가 또는 내가 해드린 어떤 Acting을 통해서 어떤 메커니즘으로 어떤 예후를 보일지 막연하고 알 수 없지만 대개 그렇게 조치해 놓으면 다음날 또는 그 다음날 눈에 띄게 부종도 통증도 감소가 되어서 나타나곤 하지요. 고맙다는 인사와 함께… 하지만, 가끔은 부종과 열감은 많이 줄었는데도 통증이 가시지 않아 사진을 찍어 보았더니 골절이었더라고 초기처치를 잘 못 했다고 양방의사의 비난 내지 환자분들의 민망한 돌팔이 취급을 받기도 하지요. 임상초년병 때는 실제 이 문제로 소송까지 갔던 적이 있다고 전해 들은 풍문이 있어 나름 처치를 해드리고도 X-ray를 찍어서 골절을 꼭 확인하세요 하고 막연한 불안감과 함께 부연을 흔히 하기도 합니다. 자, 일반적인 한의사로서 가장 흔히 그리고 너무도 익숙하게들 하고 있는 이러한 처치행위에 대해 아무런 치료의 가치를 부여하지 못한다면 화를 내실 분도 있긴 하겠지요? 하지만, 대개 건강한 사람의 염좌문제에 대해 그 화려한 처치들은 명백히 요식행위일 따름이며 양방의사의 비판을 결코 피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왜냐구요? 서두에 말씀드렸듯 대표적인 “질병이 아닌 것”이기 때문입니다. 질병이라 함은 인체가 가진 정상적인 회복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때를 말합니다. 단순히 외상이 생겨서 파괴된 연부조직들을 스스로 복구하는 과정인 부종, 통증, 열감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것은 결코 병이 난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죠. 반면, 이러한 상황이 고정을 잘 하고 조심을 하였음에도 며칠 이내에 증상들이 소실되지 않을 때는 인체가 복구할 수 있는 능력이 다소 또는 현저히 떨어졌거나 다른 질병의 문제가 내재되었을 가능성을 진단할 수 있으며 이때는 비로서 “질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8체질임상에서 “질병”이라 함은 적어도 두 개 장기이상의 균형이 과도하게 무너짐으로 인해 인체의 여러계통 또는 특정계통의 정상적인 복구능력이나 기능이 감소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발목 염좌로 전혀 인체의 회복기전에 문제가 없는 경우는 그냥 고정조치만 잘 해도 스스로 충분히 회복할 수 있지만, 간혹 필요한 경우 기본방을 5회만 사용하는 심플한 방법으로 약간의 도움을 주게 되는데, 이는 질병치료라기 보다 그저 잘 작동하고 있는 인체의 정상적인 복구력을 한번 추동시켜주는 정도로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너무 심플하여 좀 민망할 때도 왕왕 있긴 하지만, 질병이 아닌 까닭에 다른 어떤 화려한? 방법에 못지 않을 만큼 “몸”이 충분히 스스로 빠른 회복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8체질임상이든 일반의학의 임상이든 의료인으로서 환자를 치료하는 일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우선 이것이 질병인가 아닌가 하는 것을 먼저 구분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 질병이라고 한다면 내가 치료하고 도울 수 있는 문제인가 그렇지 아니한가를 잘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나아가 8체질임상을 전문으로 하는 경우이면, 일반의학에서는 어려운 문제라도 8체질임상에서는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인지, 또는 내가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8체질임상에서 해결하거나 도울 수 있는 문제인지 8체질의학의 범주에서 해결될 수는 있지만, 권도원박사님이나 권우준선생님께 또는 나보다 좀 더 경험이 많은 선배 8체질의사의 도움을 얻어야 할 문제인지 아닌지 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때론, 8체질의학의 범주를 넘어 현대의학의 수술이나 새로운 치료법이 더 나을런지도 잘 판단해야겠지요.
8체질임상에서는 사실 ‘손도 안대고 코를 풀 수 있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은데, 첫번째는 인간의 체질이 다르고 8가지로 구분된다는 인류역사상 없던 새로운 관점을 도입해 볼 때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문제들 때문일 것입니다. 흔한 예로 위염이나 역류성 식도염으로 오래 고생해온 토양체질 환자분이 현미를 주식으로 삼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을 때, 단순히 현미를 끊게 하는 것 만으로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그 오랜 고질이었던 역류성식도염을 치료를 해 줄 수 있는 경우가 되겠지요. 그러한 사례는 수도 없이 많아 앞으로 수차에 걸쳐 다양한 질환의 분야에서 실제사례를 각색하여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현대의료의 과잉진단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고 하겠습니다. 공복시 당수치(Fasting Blood Sugar Level)가 120쯤만 나와도 당뇨전단계니 어쩌니 온갖 호들갑을 떨고, 가족 중에 당뇨가 한 명이라도 있으면 무서운?당뇨병이 혹시 걸릴지도 모르므로 아예 예방적 차원에서 당뇨약을 복용을 하라는 지시에 스스로 당뇨환자라고 인식하면서 진료실을 찾는 경우가 너무도 많습니다.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등은 두말 할 것도 없고요. 과잉진단으로 의도적인 처방을 해대는 얼빠진 의사는 아무리 좋게 평가한다해도 잘못된 짓을 한다고 할 수 밖에 없는 경우입니다. 이에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저 넙죽넙죽 약을 먹으면서 그 약의 부작용 증상을 질병에 걸려 그런 것인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멀쩡한 사람이 환자로 둔갑된 사례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들도 함께 살펴 보면서 질병으로 착각하고 있는 수많은 질병이 아닌 사례들도 살펴 보고자 합니다. 이는 임상의 첫걸음을 딛는데 가장 중요한 훈련중의 하나가 될 것입니다. 도움이 될 수 있는 사고력과 관찰력을 기르는데 제가 자주 추천하는 것으로 미드(미국드라마) “Dr. House”와 221B Baker St.에 살고 있다는? Sherlock Holmes의 ‘추론의 과학(The science of deduction)’의 관찰력과 사고법을 강추합니다. 8체질별 고유 장기강약배열 有, 체질 따라 생리∙병리적 특성 가져
음식의 관계조건적인 기능, 8체질 장부론적 생리∙병리에 중요한 역할 Zika virus와 microcephaly소두증?
검은 대륙 아프리카의 북동쪽 우간다에 있는 숲이름인 Zika가 갑자기 전세계에 공포의 대상이 되어버렸습니다. 신종플루의 공포를 전세계에 아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재미?를 좀 보았다고 알려지는 그녀, 즉, 2017년까지 세계보건기구 WHO의 수장(Director-General)을 맡기로 되어 있는 Dr Margaret Chan의 또 한번의 뽐뿌질?은 이번주가 시작되던 월요일부터 한순간에 전 세계를 Zika공포속으로 몰아 넣어 버렸습니다. 무식한 것인지, 정신이 없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Ebola의 창궐이 한창이던 2014년에는 적절한 경고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지만, 신종플루 때는 지나치다는 의견이 많았고, 이후 대형 제약회사와의 염문설이 끊이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번엔 무슨 영문인지? 팩트를 좀 알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뉴욕타임즈에서 이틀 전에 소개한 기사에서는 Zika가 대두되게 된 브라질의 상황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원래 브라질 보건국에서 머리둘레가 비정상적으로 적게 타고 나는 microcephaly(소두증)의 아이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원인들 중 Zika virus가 원인일 가능성을 확인하는 중이었는데, 그 숫자는 소두증으로 확진된 404명중 단지 17명만 Zika virus에 양성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하여 브라질 정부는 microcephaly의 아이중에 너무 적은 숫자에서 Zika virus가 확인되었으므로 거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나머지는 소두증의 아이들에서 그 원인이 무엇인지 아직도 조사 중에 있다고 합니다. 그런 와중에 갑자기 세계보건기구가 나선 것이죠. 뜬금없이 International Health Emergency를 선포하면서 아메리카대륙에만 4만명이 감염되었다고 경고하고, 거의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Zika virus와 microcephaly를 가능한 또는 더 나아가 아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듯 발표를 해 버린 것이죠. 세계적으로 즉각적인 난리법석이 나고 있습니다. 브라질에서 엄격하게 통제된 낙태에 대한 합법화 운동이 벌어지고, 소두증과 Zika virus의 연관성은 순식간에 당연시 되어 버리고 이제 어떤 경로로 전염이 되느냐에 초점이 더 맞춰져 sex를 통한 체액으로 전염이 된다느니, Zika virus에 양성인 산모를 남편이 버리고 도망가는 일이 생기는 등, 대체 WHO는 무슨 생각으로 이런 선포를 당당히 했는지 알 수 가 없습니다. 진실은 예와 같이 큰 파장이 지나고 수년 후 누구에게도 책임을 지우기 어려울 때쯤 되어야 슬며시 밝혀지겠지요. 안타까운 일입니다. 8체질임상에서 바이러스를 대처하는 아주 유효한 방법이 있음은 누차 말씀 드렸습니다. 하여, 만약에 신생아의 소두증이 바이러스가 원인된 것이 분명하다면 일단, 이론적으로 충분히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믿습니다만, 그런 방면으로까지 아직 충분한 실제적 치료경험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유행하는 바이러스에 대해서 그 정확한 기원과 상황을 8체질임상의사의 관점에서 이해하시는 데 다소 도움이 되실까 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끄러운 Health Issue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는 바입니다.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