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ECM Eyes에서는 한국말로 번역되어 나온지 한 달도 채 안 되는 책 한 권을 소개하겠습니다.
미켈 보쉬 야콥슨(Mikkel Borch-Jacobsen)이라는 철학, 역사등을 전공하신 워싱턴대학의 교수께서 의약계, 특히 제약계의 흑역사를 모아서 출판한 “의약에서 독약으로”라는 제목의 책입니다. 원저명은 “Big Phama”인데 영어가 아닌 불어로 출판이 되었고 한국어 번역은 이대 불문과를 나온 번역가 전혜영이란 분이 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마존 추천’이라고 한국어 번역서 표지에는 되어 있는데 아마존에서 영문판은 찾아볼 수 없고, 불어판은 있는데 불어에는 까마눈이니 원서를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네요. 가끔은 번역에서 왜곡이나 오류가 잦기도 하고, 특히 의약분야 같은 특수분야의 번역은 가끔 황당하기까지 한 경우가 있어 원저를 보고 싶었으나 언어의 한계가 있음을 고백합니다. 내용은 한국어와 원서 제목에서 짐작하시듯 양약자체의 부작용 등의 문제보다도 일반인이 복용하는 약의 효능과 탄생과정이 제약회사를 통해서 어떻게 조직적으로 부풀려지고 마케팅되고 또한 어떤 위험한 부작용들이 오로지 제약회사의 수익과 주주들의 이익을 위해 감추어져 왔는지 그리고 혹 심각한 문제가 드러나게 되었을 때 어떻게 버티기와 발뺌하기, 덤탱이씌우기 등을 해 오고있는지 그 이면의 생생한 흑역사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러한 거대한 이면의 흑역사에 동원된 전세계의 대표적 국제기구 WHO와 FDA, 각 나라의 정부와 보건부, 의학 각 분야의 협회와 위원회 및 관련인물 등이 활용된 역사 또한 함께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책은 그간 음모론으로 치부되던 많은 부분들을 용감한 내부폭로자들의 생생한 증언과 자료에 바탕하고 있어 사료적 성격과 더불어 개인적으로는 퍼즐의 조각을 맞추는 듯한 느낌으로 신기해 하면서 보았습니다. 8체질임상을 처음으로 시작하시는 분들께도 가장 먼저 임상의 기초를 안내할 때 현실적으로 각종약물의 부작용을 먼저 소개를 하는 편입니다. 그 이유는 개인적 임상경험의 바탕으로부터 출발하는데, 1차 진료에서 만나는 수많은 증상들이 실제의 질환과 연관되기 이전에 약물이나 건강식품들의 부작용이 증상으로 오인되는 경우를 너무도 많이 보게 되는 이유입니다. 즉, 굳이 8체질의학적 관점을 대입하기도 전에 우선 약물자체의 부작용이 하나의 질병증상인 것으로 오해하고 오는 수 많은 경우들인 것이지요. 위장이 불편하고 속이 부글거리는 증상을 호소하고 오신 분이 아무리 소화기내과의 처방약을 먹어도 안 된다고 8체질임상적 관점에서 해결 할 방법이 있냐고 찾아오셔서 약물을 잘 확인해보면 공복당이 100을 넘으면 위험하다고 의사로부터 당뇨전단계(prediabetes)라고 협박 받고 당뇨약을 “예방적”차원에서 처방 받았으며, 그 말을 철석같이 믿고 또 매일 매끼니마다 당뇨약을 먹고 계시면서 힘도 없고 위와 장도 불편하다고 호소하고 계시니,,, 참으로 흔히 많이 만나는 경우입니다. 약이 필요하지 않는 과잉진단일 뿐 아니라 효능이 분명치 않고 심각한 부작용마저 계속 밝혀지고 있는 약들의 폐해인 것이지요. 그런 약들을 밥처럼 매일 먹고 있으면서 파생된 부작용인 위장관계 불편함과 무력감등을 질병에 걸린 것으로 착각하게 만들어 놓은 이 처절한 부비트랩을 일반인들이 어떻게 피해 갈 수 있을지요? 거기에 더하여 한의사들은 의도적이든 아니든 눈 딱 감고 그저 보약이나 질러대어 부를 축적하고는 아무런 책임의식도 없이 의료를 행한다고 하고 있으니 근거가 없다고 욕을 먹어도 할 말이 없어 한심할 따름입니다. 임상초년시절에는 막연히 대체 어디서 이런 말도 안 되는 오리엔테이션들이 의사들의 teaching을 통해서 이루어지는가 분노하기도 하고 황당하기도 했지만, 그래서 그 이유를 조금씩 탐색해 가다가 보니 어느새 지독한 음모론자가 되어 있는 제 자신을 발견하고는 그저 내 앞에 온 환자분들이라도 구제해서 잘 치료해드리고 가능하면 8체질임상을 하는 동료 선후배들에게 열심히 전하여 한 사람의 환자라도 더 그 올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는 심정으로 나름의 최선을 다해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을 대략 훑어보고는 저와 비슷한 심정을 가졌던 많은 전문가들이 구체적인 증거들을 가지고 결코 음모론이 아니라 오로지 돈을 위해 조직적으로 자행되고 있는 현실임을 용감하게 밝히고 있으니 한편으로는 안도감을 느끼게도 됩니다. 실제사례들과 책의 내용들을 대조비교 검토해가면서 낱낱이 소개해 드리고 싶은 심정이지만, 한글로 번역되어 나왔으니 자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여러분의 일독에 맡기도록 하겠고, 분명한 것은 이 책 내용의 거의 모든 것들을 환자를 만나서 진지하게 질병과 맞서 싸우는 일을 하다 보면 반드시 부딪히게 될 수많은 경우들의 아주 일부임을 임상이 더해질수록 더욱 깊이 느끼게 될 것이므로 씁쓸하고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그래도 꼭 알아 두셔야 할 부분이라 강권합니다. 개인적으로 의료계 이면의 흑역사와 흑막을 다룬 책들이 불과 10여년 전만 해도 공개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느꼈는데, 근간 몇 년사이 비약적인 발전? 폭로?가 예상을 벗어나고 있어 한편으로 환자분들께는 큰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더하여, 이 책을 쓴 저자의 “The Freud Files(2012년 출간, 번역안됨)”도 Freud의 정신분석학이 사기극임을 사료를 바탕으로 증명하는 책으로 함께 일독을 권합니다. 그 외에도 “질병판매학”, “과잉진단(Overdiagnosis)”, “Ending Medical Reversal(번역안됨, ECM Eyes 해설참조)” 등도 꼭 일독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어렵고 오랜 시간 걸리는 ‘팔체질 맥진법’, 기본부터 제대로 하려면?
맥의 형태와 질을 관찰하는 게 아니라 맥의 분산되는 패턴 잡아야 First WHO Global report on diabetes: 422 million adults live with diabetes, mainly in developing countries
2016년 세계보건의 날을 맞이하여 WHO Global Report On Diabetes
이번 주간은 전세계 보건의료계에 중대한 발표가 세계 각국의 언론을 통해 타전되었습니다. 한국은 다소 조용한 듯, 선거에 묻힌 듯 하지만요. ㅎ WHO Global Report On Diabetes입니다. 1948년 4월 7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설립된 날을 기념하여 중요 건강보건 문제에 대한 발표를 매년 4월 7일에 하는데 올해의 주제로 당뇨가 선정된 것입니다. 매일의 8체질임상에서 수없이 많이 만나는 환자분들께 직접 연관되고 세계최고의 치료법과 결과를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는 터라 더욱 관심 있게 보고 소개하여 나누고자 합니다. 먼저 88쪽에 해당되는 방대한 보고서의 내용 중에서 선별요약해 보자면, 우선 전지구적으로 1980년 이후 2014년까지 당뇨의 유병률, 즉 당뇨환자가 4배로 폭증했다는 것인데, 이는 1980년 전 인구의 4.7%인 1억8백만 명에서 2014년에는 전 인구의 8.5%인 4억2천2백만 명으로 증가했다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의미 있게 볼만한 내용은 북서유럽 같은 선진국에서는 증가율이 가장 낮고 오히려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이집트, 멕시코 등의 수많은 중저소득 국가들에서 현저하게 유병율이 증가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2014년의 자료만 본다면, 중국, 인도, 미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이 5개국에 사는 성인의 반(1/2)이 모두 당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과잉진단(Overdiagnosis)도 포함되어 있기는 하겠지만, 의미 있는 보고서로 보입니다. 상세한 내용을 더 연구해보시고 싶은 분을 위하여서는 pdf file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첨부해 두었고 WHO campaign website와 유수 언론들의 시각들도 뽑아 올려 두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연구보고서에 대해 현재 WHO의 Director-General로 장기집권중인 Dr. Margaret Chan 여사는 “(중저소득 국가들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각국의 정부는 국민들에게 건강한 선택(healthy choices)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당뇨가 있는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보건체계를 확립하라”고 다소 현실과 동떨어지고 본질을 외면한 권고를 하고 있습니다. 문제의 본질로 돌아와서 당뇨는 흔히 부자병이니 많이 먹고 안 움직여서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오히려 어찌 저소득국가에서 훨씬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보고가 나오게 되었을까요? 10여년전 8체질섭생법에 기반한 당뇨섭생법과 치료법을 연구하던 초기에 저 역시 한동안 딜레마에 빠져 고민하던 문제입니다. WHO에서 통계와 보고서를 내고 “Beat Diabetes”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Campaign을 벌이게 된 데에는 오래 누적되어 왔던 문제를 본격적으로 드러낸 것일 뿐입니다. 아직 공인된 바는 아니라 지나친 억측으로 치부된다 하더라도 제 나름으로 수많은 임상사례와 생리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얻은 해답과 결론은 바로 그동안 주장해 왔던 바와 같이 당뇨는 췌장만의 문제가 아니라 “과식(Overeating)”이 문제라서 그러하다는 것입니다. 특히, 체내에서 에너지로 전환되는 속도가 빠른 음식들을 위주로 과도하게 섭취하게 되어서 그렇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중저소득 또는 최빈국에서 어찌 이러한 “과식”의 문제가 발생했을까요? 이에 대한 이해는 다음과 같은 추측이 가능합니다. 중국, 인도(사실, 한국도 포함해야 하는데)등 농경문화와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권 국가들이 근래에 와서 급격히 당뇨가 증가하는 것은 농경문화의 노동에 적합한 수북이 쌓인 고봉밥과 극심한 노동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전해질의 균형을 위한 소금끼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식습관등은 바뀌지 않고 현대에까지 그대로 답습하면서 그 섭취한 에너지를 엄청나게 사용했던 강도 높은 노동은 더 이상 하지 않게 되므로 잉여가 축적되어 그러한 것으로 나름의 결론을 내려 보았습니다. 반면, 중동지역은 엄청나게 대식하는 문화가 산재해 있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짐작되며, 북아프리카 등의 아주 빈국들에서도 당뇨가 급증하는 이유는 원조가 큰 몫을 한다고 생각됩니다. 선진국들에서 잉여 되어 남은 옥수수, 쌀, 밀가루 등의 곡물이 원조의 주가 되고, 한편 최빈국으로 원조에 의존하여 살다 보니 스스로 식량을 구하러 밀림으로 정글로 뛰어 다니며 사냥해서 겨우 고기 몇 점을 구해 나눠 먹던 생활이 이제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앉아서 굶다가 100% 곡류의 원조로 겨우 하루하루를 연명하며 살아가니 그 식사의 불규칙성, 비율의 부조화, 활동량의 현저한 감소가 당뇨를 급증시키게 되는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관점을 아직 어느 분야에서도 본 적이 없는 저만의 가설이지만, 지금까지의 연구와 8체질임상을 통해 당뇨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해 보고 전세계의 통계보고를 분석을 해보면 모든 것이 합리적으로 이해되고 해석된다고 보입니다. 하지만, 현재 전세계의학계의 주장은 “건강한 식사(healthy diet)”의 선택을 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내용은 분명치가 않거나 여전히 당뇨의 실체에 맞지 않게 잘못된 경우가 많아 보이고, 가장 중요한 식사의 조절에 방점을 두지 않고 운동을 더 강조하는 등으로 우선순위를 헷갈려 하거나, 식사에 의미를 두고 보더라도 설탕이나 백미, 흰빵 등에 대한 비난과 심지어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어리석은 주장들로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인 듯 합니다. 사실, 설탕이나 백색 밀가루로 만든 빵 등은 목양체질에, 포도당이나 백미 등는 금양체질에 뇌와 근육활동을 위시한 생체기능에 필수적으로 중요한 영양소로서 자신의 체질에 맞게 소식하고, 규칙적으로 적절한 비율로 먹기만 하면 심지어 건강을 되찾고 당뇨를 퇴치할 수 있는 식사가 되기도 하는 것인데 말이죠. 또한, 서양의학계 내부적으로는 어짜피 치료는 어려우니 약물과 인슐린으로 합병을 막아보자고 하지만, 지나치게 엄격하게(HbA1c 7%이하) 조절하면 오히려 사망률이 높아져 버리는 최신의 황당한 연구결과들(ECM Eyes - V. Metabolic Diseases참조)로 거의 정신줄을 놓은 패닉 상황에 빠져있으니 전세계 당뇨환자인구를 위해서 “8체질섭생에 기반한 당뇨치료 식생활운동(DM Cure Diet Movement based on ECM Regimen)”을 대대적으로 일으킬 궁리라도 해봐야 할 듯합니다. WHO, 올해를 ‘당뇨병의 해’로 지정해 공중보건의 핵심문제로 선정
전 세계 당뇨병 환자 약 3억 5천만명, 국내 당뇨병 환자는 약 400만명 생활습관 개선, 규칙적 운동으로 합병증 예방과 혈당 조절이 중요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