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VtD를 상용하게 된 이유는?
건강식품과 비타민종류들이 대유행을 하는 중에 비타민C에 이어 특히 근간 10년 사이 의사들에 의해 환자나 건강한 사람을 불문하고 거의 협박수준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이 바로 비타민D라고 하겠습니다. 그 무용성과 위험성 그리고 체질적 연관성을 따져서 신중히 선택해야 함을 여기 ECM Eyes의 Foods & Exercise코너를 통하여 여러 번 거론해 왔지만 대체 어떤 이유로 이렇게도 널리 그리고 강력하게 열풍이 불고 있는지 궁금해 오던 차에 그 의문을 풀어줄 만한 기사를 하나 발견하였습니다. 기사를 뽑아 읽고 기자를 확인해 보니 역시 필자와 코드가 잘 맞아 왔던 New York Times의 저명 medical reporter인 Gina Kolata의 2017년 4월 10일자 최신보고입니다. 왜 이렇게 근거도 희박하고 오히려 부작용과 위험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는 VtD가 대유행을 하고 있는지 유행병에서나 사용하는 용어인 “pandemic”, 광분이나 광란을 의미하는 “frenzy”, 부정적 의미의 일시적 대유행이나 열풍을 의미하는 “craze”등의 단어를 사용해가며 의학기자의 안목에서 낱낱이 잘 밝혀놓고 있습니다. 원흉은 바로 미국 Boston의대 의학, 생리학, 생물물리학 교수인 Dr. Michael F. Holick이라는 자(者)입니다. 2011년 그가 주도하고 있는 미국 내분비학회의 위원회에서 혈중 VtD가 적어도 milliliter당 30 nanograms은 되어야 한다는 권고를 제시하였는데, 이렇게 되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VtD부족상태가 되어버리는 것이지요. 이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즉각적인 효력을 발휘하여 각 검사실(Commercial labs)에서는 지극히 정상범위인 20-30 nanograms의 수치를 “insufficient”라고 표현하기 시작했고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탓에 멀쩡한 사람들이 혈액검사를 하면 VtD부족증이 되어 VtD를 한가득 강매당해서 근거없는 두려움에 떨면서 진료실에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에 힘입어 서양의학의 종속이라 할 만한 한국의 유명?(infamous, notorious) 양방의사들(doctortainers, showdoctors)은 최소 40-70 ng/ml은 되어야 한다고 전국민을 협박하면서 각종 방송을 통하여 “비타민D팔이”를 해대고 있는 것이지요. 정보의 격차가 클 수밖에 없는 의료분야의 환자와 의사관계에서 이러한 비양심적 행태들 가운데 비타민D가 어디에 좋다고 잔뜩 나열해 놓은 병증과 질병명들은 여전히 아무런 근거가 없음을 다시 한번 이해하기 바라며 환자에게 유익하기보다는 의사의 수입에만 유익하다는 웃픈?(우습지만 슬픈) 사실을 다시 한번 자각하시기를 바랍니다. Comments are closed.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