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zard Ernst 교수는 대체의학을 지난 글에서 말씀 드린 EBM의 도구들로 연구, 확인하여야만 신뢰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학자입니다. 현재로서는 거부할 수 없는 대표적인 의학연구의 흐름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한의사 중 한 분도 이 교수의 지도하에 학위를 하신 분이 있지요. 또한, Trick or Treatment라는 책의 Chapter 1 에서 무작위대조군임상시험(RCT)의 역사와 중요성에 대해서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는데, 이는 곧, 본인이 의학의 효과와 안정성을 검정하는 도구로 사용한 RCT만이 엄격한(rigorous) “과학”임을 주장함과 동시에 그 주장에 대한 근거를 책의 첫 장에서 장황한 사례들로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과연 RCT만이 의학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검정하는 엄격한 과학인가 하는 데는 다양한 다른 견해들이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 EBM을 근거왜곡의학(Evidence Biased Medicine)이라고 비꼬는 의사나 연구자들도 있을 뿐 아니라 RCT만이 신뢰도의 가장 윗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견해를 가지고 one case report의 중요성이 결코 낮은 지위를 차지하여 임상의사나 연구자들에게 무시되거나 버려져서는 안됨을 경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현대의 임상역학분야와 EBM계의 또 다른 거장이신 Dr. Milos Jenicek 같은 분의 의견이 그러합니다. 물론, 현재 분위기로는 대세에 좀 밀리는 듯하지만, 직접 만나 진지한 대화를 나누는 가운데 저 역시 one case report의 중요성에 오래 전부터 충분히 공감해 왔던 터라 그런 부분을 체계적으로 훈련 받을 수 있는 길을 여쭈었더니 현재로서는 전세계적으로 그런 과정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나 정말로 중요한 부분이므로 당신께서 필요한대로 도우시겠다는 감사한 답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멀리 보고 먼저 좀 큰 그림을 이해해보겠다는 목표로 RCT와 같은 임상시험과 meta-analysis등을 실제로 design해서 진행하고 통계 분석하는 실무전문가(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과정을 EBM의 본산인 McMaster University에서 우선 공부하게 된 것입니다. 8체질의학이라는 새로운 의학이 현대의료의 흐름 가운데 유효성과 안정성을 인정 받으려면 결국 이러한 RCT나 meta-analysis등으로 무장이 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만, 세상이 절대로 치료할 수 없다는 다양한 난치질환들이 오로지 8체질침과 식이요법으로 깨끗이 해결되는 사례를 보고하는 Evidence Based Case Reporting이 결코 신뢰도 계층의 맨 아래에서 전세계의 의료인이나 연구자들이 눈길 한번 주지 않고 지나가는 의학자료가 되어서는 안되겠다고 믿습니다. 하여, 우선은 8체질임상의 우수한 결과를 단지 one case report라도 하나씩 하나씩 가치있는 증거(Evidence)로 만들어 쌓아 나가야 그 다음의 pilot study와 결국은 RCT의 진행을 촉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볼 수가 있겠지요. 비록 그것이 저희의 세대에 이루어 질 일은 아닐지 몰라도 적어도 다음세대에서라도 이어지려면 기초가 쌓여진 역사가 기본적으로 있어야 하겠고, 이어나갈 다음세대의 인재들과 자본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Comments are closed.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