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Reversal(3) – 여성호르몬보충요법(HRT),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오늘 소개하는 것들은 바로 이 책의 저자 Dr. Adam S. Cifu와 Dr. Vinayak K. Prasad 두 사람이 상당한 논란(controversy)을 충분히 예상하고서도 지난 6년간 이 주제를 책으로 펴내기 위해 노력해 왔던 동기가 되었던 "의학의 역전 Medical reversal"들입니다. 본인들이 서문에서 충분히 밝히고 있는 내용이므로 간단히 요약해 보겠습니다. 이미 지난 8월8일자 ECM Eyes에서 제가 소개했던 바와 같은 주제인 갱년기여성의 호르몬보충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에 대한 문제가 Dr. Cifu에게는 큰 충격이었음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수년동안 그는 여느 의사들과 같이 갱년기여성들에게 에스트로젠을 보충하는 요법이 유방암의 위험은 다소 올릴지라도, 골다공증과 심장병의 확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 유익한 점(benefits)이 그 위험을(risks) 앞지른다고(outweigh) 권유하여 왔었는데, 잘 디자인된 대규모 임상시험의 결과는 그것이 심장에 유익하지 않을 뿐 아니라 초기에는 심지어 그 치료자체가 더 많은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고 나온 것이지요. Dr. Cifu는 의사들이 그 치료를 멈추라고 환자들에게 권유하는 것이 뭔가 더 나은 방법을 발견하게 되어서가 아니라 애초에 여성호르몬보충요법(HRT) 자체를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이었다는 뼈아픈 반성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Dr. Prasad는 심장병환자중환자실(Cardiac Intensive Care Unit, CCU)에서 체험들이 바탕이 되었음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가 돌보고 있던 많은 환자들에게 CCU team은 좁아진 관상동맥에 stent를 삽입하는 시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을 권유하곤 했는데, 어떤 환자들에게는 그 근거가 충분해 보였으나 어떤 경우에는 그 효과가 잘 증명되지 않거나 심지어 도움이 되지 않아 보이는 경우까지 다양했던 것이죠. 그러다 stent의 삽입이 별로 필요없어 보이던 한 환자에게서 그 시술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 상황을 보고 “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do no harm)”는 히포크라테스의 선서는 대체 어디로 갔는가?하고 계속 고민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이 두 의사는 자신들의 임상경험을 통해 수많은 의학의 역전들을 경험하면서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고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하여 충분한 근거들을 모아서 그 사례들을 책으로 소개를 하게 된 것이죠. 결국, 그들이 이 책을 쓰는 목적으로 의학이 좀 더 잘 행하여 지고 잘못된 의료행위가 덜 하여져서 환자들뿐 아니라 의사들과 의료에 돈을 지불하는 우리 모두에게 유익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라고 합니다. 실제 8체질임상의 현장에서도 수없이 많은 역전들과 왜곡과 더 나아가 질병과 몸에 대한 본질적인 의학적 인식자체의 착오들을 매일 만나게 되지만, 서양의학에서 적어도 이런 반성과 고백들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은 새로운 의학에 대한 희망적 메시지이자 환자분들에게 좀 더 나은 의료를 적용할 수 있는 출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두 의사에게 결정적인 계기를 주었던 논문 두가지도 함께 링크합니다. 책의 마지막에 Reference를 통하여 소개해 두었지만, 직접 확인을 해보시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Comments are closed.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