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략 50대 이상의 환자분들 중 혈압약 한두가지 안 드시는 분이 없을 정도로 많은 분들이 혈압약을 복용하고 계시는 현실입니다. 심지어 더 젋은 분들도 혈압약을 처방받는 경우가 자주 관찰됩니다. 때로는 가족력 등으로 인한 단순 예방차원에서, 때로는 한번 혈압이 오른 적이 있으므로 무서워서,,,
진지하게 혈압에 대해서 생각해볼 일입니다. 적어도 주 3회 정도 동일한 조건하에서 측정한 평균값이 어느 정도인지는 우선 확인해야 할 것이지만, 그렇지 못하고 여러 이유로 근거 없이 지나친 공포오리엔테이션?이 된 경우를 참으로 많이 만납니다. 오늘 소개하는 기사는 고혈압수치의 역사라고 할 만한데, 과연 고혈압의 기준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에 촛점을 두고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2017년에 Sprint라는 연구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크게 세가지 정도로 예상이 되어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의 합병을 예방하는데 수축기혈압이 140이하이면 충분한가, 120이하여야 하는가, 아니면 120이하면 오히려 해로울 것인가로 요약이 되겠지요. 2013년 겨울 미국에서 발표된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60대 이상 노인의 경우 수축기혈압의 상한선을 150으로 올리는 것으로 논란의 수치를 한가지 더 하였습니다. 각자 나름의 근거와 주장을 가지고 있긴 하겠지만, 이와 같은 연구들은 결국 사람이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임상시험의 통계에 바탕한 절대적 적정수치를 찾아내려고 노력하는 것이므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면, 8체질임상에서는 어떤 기준을 가지고 보아야 할까요? 항상 다름이 강조되듯이 혈압의 경우도 역시 체질마다 정상수치로 삼을 수 있는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목양체질의 경우 권박사님께서 8체질섭생표에 기록하시기를 "당신의 혈압은 일반 평균보다 높은 것이 건강한 상태입니다."라고 명시를 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은 대략 140전후를 일반평균으로 보시고 그보다 높은 140~50대 정도이면 목양체질이 건강한 상태이자 적당한 혈압의 기준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간혹 예외적인 경우가 있긴 하지만, 대략 180정도까지도 무난한 편이나 일반적으로 180이상의 경우는 설령 목양체질이라도 혈압을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시는 것이 적당합니다. 목양체질의 경우는 120 또는 140 어느 기준이든 현대의 통상적인 가이드라인에 따라 엄격히 혈압을 낮추게 되면, 오히려 무력감, 현기증과 같은 혈액이 전신으로 충분히 힘있게 공급되지 못해서 오게 되는 증상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즉, 혈압은 잘 조절이 되었는데 무기력한 병자가 된 느낌으로 어디서도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고 겨우 겨우 버텨 나가는 상황이 되는 거지요. 이런 경우는 혈압만 회복시켜주면 얼마 되지 않아 다시 건강하고 활력이 넘치게 되지만, 안타까운 것은 앞서 말씀 드린 사회적 공포 오리엔테이션과 의사들의 불확실한 판단에 의한(doctors are making decisions in a fog of uncertainty) 무리한 권고 때문에 몸은 많이 회복되고 건강해 졌는데 늘 마음에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단, 혈압약을 조절하여 평균보다 높은 혈압으로 회복시키는 것은 반드시 목양체질임이 분명히 확진 되고 나서야 할 수 있는 조치임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반면에, 토양체질의 경우는 일반평균이라 할 수 있는 140 또는 엄격한 기준인 120보다도 낮은 것이 유리합니다. 그러므로, 140이라는 수치는 토양체질에게 때로는 이미 심혈관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므로 선제적인 혈압조절에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어떻게요? 기사에서 Dr.Gaziano가 Mr.Lorenzen에게 하는 말(“The medicine alone wouldn’t do it. I have a feeling your exercise and weight reduction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을 8체질의사의 관점으로 바꾸어 보자면, 약이 아니라 체질에 맞는 음식, 체중조절 그리고 적당한 운동으로 몸을 먼저 관리해야 한다는 거지요. 기타 다른 체질들은 현대의학의 일반적인 기준을 따르면 적절하다고 하겠습니다. Comments are closed.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