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 인체의 기초적인 면역작용과 현대의학의 바이러스치료 및 8체질의학의 접근에 관하여 알려드렸습니다. 그런데, 감기나 독감, 대상포진등은 바이러스 질환으로 이해하고 접근하여도 좋으나 Hepatitis, AIDS, CJD(Creutzfeldt-Jakob disease, 일명 Mad-Cow Disease)등은 대표적인 감염병으로 분류되고 있긴 하나 이는 현대의학의 분류가 틀릴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즉, 바이러스의 감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논란의 여지가 많지만, 권도원박사님의 오랜 연구와 임상의 결과에 의한 설명도 그렇고, 8체질임상가로서 많은 환자분을 관찰하며 치료해본 결과도 역시 바이러스 감염이라는 분류가 잘 못 되었다고 판단됩니다.
몇 차에 걸쳐 관련이해를 나누고자 합니다. 먼저 간염의 경우, 한국,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권은 주로 B형 간염이 많고, 서구의 경우는 C형 간염이 많습니다. 간염의 절대다수가 viral infection으로 인식되고 있고, 또한 virus의 복제를 억제하는 약을 개발하므로 대략 최근 10년 사이 혁혁한 공을 이어오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AIDS연구를 하다가 AIDS virus보다 엉뚱하게 간염virus를 더 잘 억제하는 현상을 발견하고는 탄생한 것이 제1세대 간염약 lamivudine이었는데, 이 또한 세월이 지나면서 내성과 부작용의 문제로 논란이 계속 되고 있습니다. 그 전까지 주사로 많이 써 오던 interferon은 부작용이 극심하여 많은 경우 치료를 중단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나름 혁명이었는데 말이죠. lamivudine이후 2세대, 3세대를 거치면서 계속 다른 항바이러스제들이 개발되고 있긴 하나 좀 더 지켜볼 일입니다. 한편, B간염백신의 경우 재미의학자 한 분이 미국에서 공부하고 백신개발과 보급에 힘써서 모자간의 수직감염률을 낮추고 간염백신을 routine으로 맞도록 계몽하여 아시아지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기도 했습니다. 권박사님께서 어느 날 그 분의 강의가 있으니 들어보기를 권유하셔서 직접 녹음해 둔 것이 있습니다. ecmstudy.com에 올려두었으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하지만, 8체질임상에서의 결론은 간염은 바이러스 질환이 아니다라는 것입니다. 앞서 설명한 바이러스방을 사용하여서는 간염이 낫지를 않습니다. 간염은 장계염증방, 즉 간 자체의 염증을 우선 치료하면 바이러스가 더 이상 활동하지 못하게 됩니다. 바이러스가 존재하고 있고 간세포에 염증이 동시에 있으니 바이러스가 공격자라고 오해 된 것입니다. 동일현상에 대한 선후관계의 해석이 잘못된 것으로 보입니다. 자신의 체질에 맞지 않는 섭생에 의한 비건강상태의 간에 염증이 생긴 것이 우선이고 이후 거기에 그 염증환경을 선호하는 간염바이러스가 들어와서 복제를 시작하여 된 것이 간염의 실체라는 것입니다. 때로 간염바이러스가 들어왔어도 활동을 하지 못하고 억제 되어 있는 건강보균자는 이런 이유로 정상인과 같이 취급되어야 합니다. 동시에, 간염치료의 혈액지표 역시 중요시 보아야 하는 것들이 현대의학의 관점과는 다소 다른 이유가 생기는 것입니다. Comments are closed.
|
Categories
All
Archives
September 2017
|